저축은행 업계가 오픈뱅킹 서비스를 정식 출시하였습니다. 금융상품 간편가입 등 비대면 금융서비스의 이용 편의성을 높여 고객 기반을 한층 넓힐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과연 이번 저축은행 오픈뱅킹 서비스는 무엇이며 사용방법과 기대효과 등은 어떠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오픈뱅킹이란?
고객이 여러 금융회사 앱(App)을 설치할 필요 없이 하나의 은행, 상호금융, 증권사, 핀테크 앱(오픈뱅킹 참여기관 앱)만으로 모든 본인계좌를 조회하고 자금을 이체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오픈뱅킹은 금융결제망 개방을 통한 금융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19.12월 출범한 이후 시장에 빠르게 안착 중입니다.
* [누적현황(‘21.4.25기준)] (가입자) 7,657만명, (계좌) 13,853만좌, (API이용) 43.3억건
금융위원회는 더욱 많은 국민이 편리하게 오픈뱅킹을 이용할 수 있도록「오픈뱅킹 고도화 방안」을 발표(’20.10.21, 제3차 디지털 금융협의회)하고 오픈뱅킹 참여기관 확대*를 추진해왔습니다.
* [참여기관 현황(‘21.4.25기준)] 은행(18개사), 핀테크 기업(62개사), 상호금융(농협, 수협, 신협,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등 5개 기관), 우정사업본부, 증권사(14개사) 등 총 100개
- ‘21.4.29일부터는 저축은행 앱이나 홈페이지에서도 저축은행을 비롯한 은행, 상호금융, 증권사 등 오픈뱅킹 참여 금융회사들의 본인계좌를 한꺼번에 조회하고 자금을 이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73개 저축은행이 저축은행중앙회 통합 앱(SB톡톡+) 또는 자체 앱을 통해 서비스를 우선 실시*하며, 나머지 6개 저축은행도 전산개발이 완료되는 대로 순차적으로 대고객 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 금일 저축은행중앙회 통합 앱 서비스를 시작으로 5월초까지 실시 완료 예정
저축은행 오픈뱅킹 서비스 사용방법
① 이용을 원하는 저축은행 앱에서 신설된 오픈뱅킹 메뉴로 접속
② 어카운트인포 서비스*를 통해 본인의 타 금융회사 계좌를 조회
* 계좌번호를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전 금융회사의 본인계좌를 자동조회 가능
③ 오픈뱅킹을 통해 이용할 계좌를 등록하고 조회‧이체 등 서비스 이용
오픈뱅킹 기대효과
저축은행의 오픈뱅킹 서비스가 실시됨에 따라 수신계좌를 제공하는 全 금융업권에서 오픈뱅킹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집니다.
- 금융소비자는 다양한 금융회사에 자금을 예치하고 이를 하나의 앱으로 손쉽게 관리할 수 있어, 이용 경험 및 편익이 제고될 것입니다. 이밖에도 토스, 카카오페이, 페이코, 네이버 페이 등 핀테크 기업에서 제공하는 간편 송금 서비스, 큰 글씨 뱅킹 서비스, 금리비교 한눈에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 저축은행을 비롯한 참여업권 간 차별화된 앱 개발, 대고객 서비스 경쟁을 통해 신규고객 유치, 디지털 경쟁력 강화도 기대됩니다. 시중은행의 0%대 금리에 실망한 '금리 노마드족' 등을 대거 유입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오픈뱅킹 서비스를 통해 저축은행의 고금리 '파킹통장(보통예금)' 상품을 편리하게 비교·가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향후 계획
오픈뱅킹을 통한 금융혁신이 지속될 수 있도록 카드사* 등 오픈뱅킹 참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 ‘21.5월 말부터 순차적으로 오픈뱅킹 서비스 개시 예정
'생활정보 >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신고기간 및 계산방법 간편정리 (0) | 2021.05.04 |
---|---|
공매도 재개일, 공매도 뜻, 재개종목 간단 정리 (0) | 2021.05.03 |
마이너스통장 만들기 필요서류와 개설자격 간단정리 (0) | 2021.05.02 |
DSR 이란? DSR 계산기 그리고 7월 대출규제 내용 알아보기 (0) | 2021.04.30 |
보조금24 홈페이지 신청방법과 혜택 확인 (0) | 2021.04.29 |
댓글